카테고리 없음
부동산 대출 받을 때 LTI가 중요 하다는데...
jwbrave11
2025. 4. 4. 14:44
LTI는 **"Loan to Income"**의 약자로, 한국어로는 **"소득 대비 대출 비율"**이라고 합니다. 쉽게 말하면, 당신이 1년 동안 버는 돈(소득)에 비해 얼마나 많은 빚(대출)을 졌는지 보여주는 숫자예요.
LTI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
- 뜻: "내 연봉이 5,000만 원인데, 대출이 1억 원이면 LTI가 몇 퍼센트일까?"를 계산하는 거예요.
- 계산법:
LTI = (대출 금액 ÷ 연소득) × 100
예: 대출 1억 원 ÷ 연소득 5,000만 원 = 2 → 2 × 100 = 200%.
→ 즉, LTI 200%는 소득의 2배만큼 빚을 진 거예요.
예시로 더 쉽게
- 직장인 A씨
- 연봉: 4,000만 원
- 대출: 1억 2,000만 원 (집 사느라)
- LTI = (1.2억 ÷ 4,000만) × 100 = 300%
- → A씨는 연봉의 3배를 대출로 빌렸어요.
- 신혼부부 B씨
- 연봉: 6,000만 원
- 대출: 3,000만 원 (전세자금)
- LTI = (3,000만 ÷ 6,000만) × 100 = 50%
- → B씨는 연봉의 절반만 대출했네요.
왜 중요한가?
- 은행 입장: LTI가 높으면 "이 사람 빚이 너무 많아서 갚기 힘들 수도 있겠다"라고 판단해 대출을 덜 주거나 금리를 높일 수 있어요.
- 나 입장: 내 소득으로 빚을 갚을 수 있는지, 생활이 얼마나 빠듯할지 가늠하는 기준이 됩니다. LTI가 100%를 넘으면 소득보다 빚이 많다는 뜻이라 부담이 커요.
30대 주택 구매와 LTI
30대가 집을 사면서 대출을 많이 받다 보니 LTI가 200~300%인 경우가 많아요. 예를 들어, 연봉 5,000만 원에 2억 원 대출 받으면 LTI 400%가 되는 식이죠. 질문하신 "부채율 100% 넘었다"는 LTI가 100%를 넘는 상황을 뜻할 가능성이 큽니다.
쉽게 말해, LTI는 **"내 월급으로 감당할 수 있는 빚인지"**를 체크하는 잣대예요.